• 2024 바이오산업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전망 (Ⅱ)
세일상품

2024 바이오산업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전망 (Ⅱ)

396,000 440,000
제조사
산업동향연구소
배송정보
무료
택배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PDF 주문안내]
-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PDF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계산서 발행안내]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견적서 및 거래명세서 발행안내]

-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 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바이오는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로 부상하며,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의료 산업 등과 융합화를 통해 산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지속 가능한 성장을   견인하는 미래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세계 각국은 정책적으로 바이오 관련  산업을 지원/육성하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사를 필두로 관련 기업들은 적극적인 R&D 투자를 통해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또한 정부가 2024년부터 바이오·디지털헬스 산업 육성을 위한 연구개발(R&D) 지원에 나선다. 바이오 분야는 지난해 국가첨단전략산업으로 신규 지정되면서 새로운 주력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올해는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과제에 신규 지원 계획도 세웠다.


정부가 올해 바이오 연구개발(R&D)에 총 2660억원 규모의 예산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먼저 바이오의약 분야에서는 혁신신약, 인공혈액, 마이크로바이옴 등의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과 바이오제조 역량 강화를 위한 제조공정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의료기기 분야는 시장지향형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전주기 기술개발과 사용 편의성 향상을 위한 융복합 바이오제품 개발을 지원하고 디지털헬스 분야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디지털치료기기 개발과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 및 실증을 지원한다.


바이오소재 분야에서는 원료의약품 소재 개발 및 생체친화적 생리활성 소재 발굴을 통한  바이오소재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에 당사에서는 바이오산업의 주요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화 전략에 대하여 국내외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본서를 출간하게 되었다. 


모쪼록 본서가 다가오는 미래의 새로운 신성장 사업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바이오산업에 관심을 갖고 계신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Ⅰ. 바이오 및 바이오의약 분야 산업동향 및 기술현황

1. 바이오의약품 산업 동향과 국내 산업 경쟁력 분석

  1) 세계 의약품 산업의 현황 및 전망

    (1) 의약품 산업 개요 및 특징

    (2) 의약품 시장 규모

    (3) 바이오의약품 산업 동향

      가. 바이오의약품 개요

      나.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기술개발 동향

  2) 한국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경쟁력 현황

    (1) 한국 의약품 산업 현황

    (2) 국내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경쟁력

      가. 사업운영 현황 및 애로사항

      나. 기술수준 및 기술확보 애로사항

      다. 수출현황 및 애로사항

      라. 투자 및 자금조달

      마. 소결

  3) 결론 및 시사점

2. 의약·바이오 분야 연구개발 서비스 동향 및 시사점

  1) 의약·바이오 분야 연구개발 서비스 개요

    (1) 의약·바이오 분야 연구개발서비스 범위

    (2) 의약·바이오 분야 연구개발서비스의 중요성

  2) 의약·바이오 분야 연구개발서비스 산업 동향

  3) 세부 서비스 분야별 산업 동향

    (1) (CRO)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임상연구 증가와 신약개발 비용 절감 위해 CRO 산업 급성장 中

    (2) (CMO/CDMO) 코로나19로 인한 바이오 의약품5) 개발 증가로 인한 높은 성장세 및 CDMO 서비스로 확장 중

    (3) (CDO) 바이오 의약품 개발 전주기(End-to-End)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업 영역 확대 관점에서 CDO 분야 역량 강화 진행 중

  4) 서비스 분야별 주요 기업 동향

    (1) [CRO] M&A, 전략적 협력 통한 원격임상, 전주기 서비스 등 사업 분야 및 영역 확대 추진 中

    (2) (국내) 기업 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서비스 영역 확대 추진 중

      가. 주요 기업 현황

        ① IQVIA, 아이큐비아

        ② (ICON, 아이콘)

        ③ (Charles River Laboratories, 찰스리버래보래토리즈) 

        ④ ㈜씨엔알리서치

        ⑤ HLB 바이오스텝㈜(구, 노터스)

        ⑥ 코아스템켐온㈜

        ⑦ ㈜바이오톡스텍

    (3) [CMO/CDMO] 바이오의약품 산업 내 경쟁력 확보와 시장 선점 위해 설비증설 및 인수합병, 분야 다변화 등 통해 역량 확대 추진 中

      가. 주요 기업 현황

        ① Lonza, 론자

        ② Wuxi Biologics, 우시 바이오로직스

        ③ Samsung Biologics, 삼성바이오로직스

        ④ ENCell, 이엔셀

    (4) [CDO] 고객 선점 측면에서 대기업의 사업다각화 관점과 전문기업 중심 시장  형성

  5) 결론 및 시사점

    (1) 산업 동향

    (2) 시사점

3. 경제 안보 시대, 제약·바이오산업의 법제 및 정책 이슈

  1) 개요

  2) 중국과 미국의 제약·바이오 부문에서의 패권 경쟁 및 경제 안보 이슈

    (1) 미국의 제약·바이오산업 부문 경제·국가 안보 관련 조치

    (2) 중국의 제약·바이오산업 부문 경제·국가 안보 관련 조치

  3) 한·미·중의 제약·바이오 부문 경쟁력 분석

  4) 한국의 제약·바이오 부문 주요 입법 및 정책 동향

  5) 결론 및 정책 시사점

4. 바이오경제 시대의 합성생물학

  1) 개념 및 중요성

  2) 국가 간 주요 전략 및 경쟁력 비교

  3) 우리나라의 대응 노력과 계획

  4) 결론 및 시사점

    (1) 기술혁신 측면

    (2) 국제협력 측면

    (3) 위험관리 측면


Ⅱ. 건강기능식품 및 기능성식품소재 분야 산업동향 및 기술현황

1. 기능성 식품

  1) 개요

    (1) 일반적 정의

      가. 정의

      나. 필요성

    (2) 구축 범위

      가. 가치사슬

      나. 대표적 분류 방법

      다. 기술로드맵 전략분야의 범위

  2) 동향 조사 분석

    (1) 주요국 정책동향

      가. 한국

      나. 미국

      다. EU

      라. 호주

      마. 중국

      바. 일본

    (2) 시장동향 및 규모 예측

      가. 시장규모 및 전망

      나. 주요기업 동향

    (3) 기술 및 표준화(규제) 동향

      가. 기술개발 동향

      나. 표준화(규제) 동향

  3) 품목로드맵

    (1) 품목로드맵 구축 절차

    (2) 기능성 식품 품목로드맵 및 전략품목

    (3) 기능성 식품 개발 핵심이슈

2. 케어푸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동향 조사 분석

    (1)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기술개발 동향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나. 생태계 기술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3) 특허 동향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나. 특허 점유율

      다. 특허 영향력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나. 기술 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특허 분석

  4) 전략품목 기술로드맵

    (1) 핵심기술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및 기술로드맵 기획 절차

      다. 핵심기술 리스트

    (2) 기술개발 로드맵

      가.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나. 기술개발 목표

    (3)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가정간편식 제품 (HMR)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동향 조사 분석

    (1)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기술개발 동향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나. 생태계 기술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3) 특허 동향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나. 특허 점유율

      다. 특허 영향력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나. 기술 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특허 분석

  4) 전략품목 기술로드맵

    (1) 핵심기술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및 기술로드맵 기획 절차

      다. 핵심기술 리스트

    (2) 기술개발 로드맵

      가.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나. 기술개발 목표

    (3)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4. 건강기능성 식품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동향 조사 분석

    (1)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기술개발 동향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나. 생태계 기술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3) 특허 동향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나. 특허 점유율

      다. 특허 영향력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나. 기술 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특허 분석

  4) 전략품목 기술로드맵

    (1) 핵심기술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및 기술로드맵 기획 절차

      다. 핵심기술 리스트

    (2) 기술개발 로드맵

      가.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나. 기술개발 목표

    (3)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5. 대체육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동향 조사 분석

    (1)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기술개발 동향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나. 생태계 기술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3) 특허 동향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나. 특허 점유율

      다. 특허 영향력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나. 기술 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특허 분석

  4) 전략품목 기술로드맵

    (1) 핵심기술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및 기술로드맵 기획 절차

      다. 핵심기술 리스트

    (2) 기술개발 로드맵

      가.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나. 기술개발 목표

    (3)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6. 푸드테크

  1) 개요

    (1) 배경

    (2) 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기술동향

    (1) 기술동향 개요

    (2) 신식품개발

    (3) 식품제조

    (4) 식품유통

    (5) 외식서비스

    (6) 식품처리

  3) 산업동향

    (1) 글로벌 산업 동향

    (2) 국내 산업동향

  4) 정책동향

    (1) 해외 정책 동향

    (2) 국내 정책 동향

  5) R&D 투자동향

    (1) 해외 주요국 R&D 투자동향

    (2) 국내 정부 R&D 투자동향

  6) 결론

    (1) 요약 및 정리

    (2) 시사점

7. 프로바이오틱스

  1) 개요

  2) 시장동향 및 전망

    (1) 시장규모

    (2) 경쟁 현황

  3) 결론 및 시사점


Ⅲ. 화장품 및 기타 분야 산업동향 및 기술현황

1. 항노화 치료제

  1) 개요

    (1) 배경

    (2) 항노화 치료제의 정의 및 범위

    (3) 기술의 목표 및 수준

  2) 기술동향

    (1) 기전 규명

    (2) 진단

    (3) 치료

  3) 산업동향

    (1) 글로벌 시장전망

    (2) 글로벌 시장동향

  4) 정책동향

    (1) 주요국 정책동향

    (2) 국내 정책동향

  5) R&D 투자동향

    (1) 주요국 R&D 투자동향

    (2) 국내 R&D 투자동향

  6) 결론

    (1) 요약

    (2) 시사점

2. 탈모케어 및 화장품 산업 동향

  1) 탈모케어 화장품에 대한 시장 니즈

    (1) 탈모 화장품 정의 및 개요

    (2) 데이터를 통한 시장 수요분석

      가. 국내 탈모증 환자 통계 추이

      나. 구글트랜드로 본 글로벌 트랜드

      다. 구글트랜드로 본 국내 트랜드

      라. 네이버트랜드로 본 국내 트랜드

  2) 탈모케어 화장품 연구개발 동향

    (1) 논문분석

      가. 지리적 분석

      나. 연구기관

      다. 연구자

      라. 펀드기관

      마. 분류

    (2) 국가연구개발분석

      가. 년도별

      나. 지역별

      다. 분류별

      라. 부처별

      마. 수행기관별

    (3) 특허분석

      가. 년도별

      나. 분류별

      다. 출원인별

  3) 탈모케어 화장품 시장동향

    (1) 시장·산업 특징

      가. 산업 구조

      나. 산업의 특징

        ① 경기변동의 특징

        ② 자원조달의 특징

        ③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2) 국내외 시장동향

      가. 해외시장

        ① PANTENE

        ② P&G

        ③ 웰라(WELLA)

        ④ 로레알(L’Oreal)

        ⑤ 시세이도(Shiseido)

      나. 국내시장

      다. 기업의 M&A 동향

      라. SWOT 분석

    (3) 국내외 제품동향

      가. 미국

      나. 중국

      다. 일본

      라. 브라질

      마. 국내시장

        ① 아모레퍼시픽

        ② LG생활건강

        ③ TS트릴리온

        ④ 애경산업

        ⑤ 한국콜마

        ⑥ 와이어트(하시스)

        ⑦ 에이치케이이노엔

        ⑧ 메디포스트(셀로니아)

        ⑨ 신세계인터내셔날

        ⑩ 피플앤코

        ⑪ 아모스프로페셔널

        ⑫ 하이모

        ⑬ 코스맥스

        ⑭ 현대약품

        ⑮ 동화약품

        ⑯ 아이엘사이언스

        ⑰ 두리화장품

        ⑱ 피토스

        ⑲ 바이오스펙트럼

        ⑳ 스와니코코(브레인콘텐츠)

    (4) 경쟁상황 분석

      가. 공급자

      나. 수요자

      다. 신규 참여자

      라. 대체재

      마. 경쟁 정도

  4) 탈모케어 화장품 시장전망

    (1) 시장규모

      가. 해외 시장

      나. 국내 시장

      다. 산업 성장성

        ① 자가치료 시도 선호

        ② 탈모 완화 기능성 화장품 수요 증가

    (2) 시장전망

3. 유럽 화장품 시장 및 규제 동향

  1) 유럽 화장품 시장 현황

    (1) 화장품 시장 규모 및 동향

      가. 주요 동향

      나. 국가 및 품목별 동향

    (2) 교역 동향

      가. EU의 수입 동향 (HS code 3304 기준)

      나. 한-EU 교역 동향 (HS code 3304 기준)

    (3) 유통 구조

      가. 해외 화장품 수입 방식 : 직접 수입 또는 유통업체를 통한 수입

      나. 유통채널별 특징 및 비중

      다. 온/오프라인 유통채널

    (4) 유럽 화장품 시장 트렌드

      가. 지속가능성의 확장, 컨셔스 뷰티

      나. 화장품, 웰빙에 필수불가결한 요소

      다. 셀프 케어, 맞춤형 시장으로 심화

    (5) 유럽 소비자 구매 성향

      가. 보수적인 소비성향

      나. 새로운 소비를 주도하는 MZ세대

      다. 가치소비와 감성소비

  2) EU 정책 및 인증

    (1) EU 화장품 규정 주요내용

      가. 화장품 성분 규제

      나. 책임자 (Responsible Person)

      다. CPNP(Cosmetic Product Notofication Portal)

      라. 안정성 평가 보고서 (CPSR, Cosmetic Product Safety Report)

      마. 제품 정보 파일 (PIF, Product Information File)

      바. 라벨링

      사. 광고 문구

      아. 화장품 부작용 모니터링

    (2) ESG 경영

      가. ESG 경영의 의미와 필요성

      나. ESG 관련 유럽 규제

      다. 화장품 업계 대응 방안 및 모범사례

    (3) 인증제도

      가. COSMOS-standard

      나. BDIH

      다. Cosmebio

      라. Ecocert

      마. EU Ecolabel

      바. ICEA

      사. NATURE

      아. Soil Association

      자. Vegan Society


Ⅳ. 바이오 산업 관련 국내 정책 및 현황

1. 바이오헬스 산업의 주력산업화를 위한 정부 역할 및 지원방안

  1) 배경 및 목적

  2) 바이오헬스 산업 개요 및 특성

  3) 해외 주요국 바이오헬스 47산업 생태계의 발전 사례 분석

    (1) 미국

    (2) 스위스

    (3) 중국

      가. 바이오의약

      나. 의료기기

      다. 헬스케어 서비스

  4)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의 발전 흐름 및 현황 진단

  5) 바이오헬스 산업의 주력산업화를 위한 정부역할 및 지원방안

2.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개선 방안

  1) 바이오 경제시대의 시작과 바이오산업의 부상

    (1) 바이오 경제시대의 시작

    (2) 바이오산업의 성장 가능성

    (3) 한국 바이오산업의 경쟁력과 한계

  2) 해외 주요국의 바이오산업 정책 체계

    (1)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의 주요 요소

    (2) 미국 바이오산업 정책 거버넌스

    (3) 영국 바이오산업 정책 거버넌스

      가. 생명과학국(OLS) 운영 체계

      나. 생명과학국(OLS) 주요 활동 및 성과

    (4) 일본 바이오헬스산업 정책 거버넌스

  3) 국내 바이오산업 정책 체계

    (1) 국내 바이오산업 주요 법ㆍ정책 구조

    (2) 국내 바이오산업 정책 거버넌스 현황 및 문제점

  4) 국내 바이오산업 정책 체계 개선 제안

    (1) 바이오경제 종합전략 추진을 위한 정책 거버넌스 필요성

    (2) 바이오경제 정책의 효율적 거버넌스 체계 구축 방안

      가.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 ‘국가바이오경제특별위원회(가칭)’ 설립 및 대통령 비서실 내 ‘바이오경제비서관(가칭)’ 임명

        ① 주요 역할

        ② 장점 및 단점

      나. 행정조직의 효율성과 위원회 체제의 유연성을 살린 ‘상설행정위원회’인 ‘바이오경제위원회(가칭)’를 국무총리 산하 신설

        ① 주요 역할

        ② 장점 및 단점

      다. 바이오경제 관련 주요 부처의 바이오산업 정책 역량을 각각 제고하고, ‘바이오관계장관회의’ 신설

        ① 장점 및 단점

    (3) 정책 거버넌스 개선 이후 과제 및 시사점


Ⅴ. 바이오 산업 관련 주요국 정책 및 산업동향

1. 미국

  1) 美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

    (1)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혁신에 관한 행정명령

      가. 행정명령 섹션 3

      나. 행정명령 섹션 5

      다. 행정명령 섹션 12

    (2)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정상회의 개최

      가. 강화된 공급망을 위한 생명공학 활용

      나. 미국 내 바이오제조 확장

      다. 미국 전역에서 혁신 촉진

      라. 바이오 제품의 시장 출시

      마. 차세대 생명공학자 양성

      바. 생명공학 제품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위한 규제 혁신

      사. 바이오경제를 위한 측정과 표준의 발전

      아. 바이오 보안에 대한 투자를 통해 위험감소

      자. 바이오경제 발전을 위한 데이터 공유 촉진

  2) 美 행정부, 미국 바이오 기술 및 바이오 제조를 위한 목표 보고서 발표

    (1) 미국 바이오 기술 및 바이오 제조의 담대한 목표

      가. 배경

      나. 주요 내용

      다. 부처 및 기관별 주제와 목표

2. 중국

  1) 중국 의약품 시장 동향

    (1) 중국 의약품 분류

    (2) 시장동향

      가. 시장규모

      나. 복제약

      다. 신약

      라. CDMO

    (3) 수입동향

    (4) 정책동향

    (5) 인증제도

    (6) 시사점 및 전망

  2) 중국 2023 글로벌 제약바이오시장

    (1) 개요

    (2) 의약품 분류 및 규제기관 개요

    (3) 중국 의약품 시장 정보

      가. 중국 의료서비스 현황

      나. 질환 역학

      다. 의료보험

      라. 의약품 시장

        ① 중국 의약품 시장 특징

        ② 중국 의약품 시장 규모

    (4) 중국 의약품 수입 및 조달 시스템 정보

      가. 중국 의약품 수출입 현황

      나. 중국 의약품 수입 통관 절차

      다. 의약품 조달 시장

    (5) 중국 의약품 인허가 제도

      가. 개요

      나. 임상시험계획 승인(IND) 신청

      다. 시판허가 신청

    (6)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중국 진출 현황

    (7) 중국 진출 전략

      가. 중국 시장 현황

      나. 중국 진출 기업 경영 애로사항

      다. 중국 진출 전략

    (8) 중국 CRO 그룹 리스트

  3) 미-중 바이오의약산업 패권 경쟁 속 우리의 기회

    (1) 개요

    (2) 중국 바이오산업 정책과 그 성과

      가. 중국의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

      나. 중국의 바이오산업 혁신 전략

        ① 패스트팔로우 전략

        ② 바이오클러스터 조성 및 다국적제약회사 유치

        ③ 위탁개발생산기업(CDMO) 육성

      다. 중국의 바이오산업 최근 성과 및 동향

        ① 중국, 해외 바이오기업과 협력 급증

        ② 해외 파이프라인 도입 활발

    (3) 미국의 대응 : 바이오기술 보호를 위한 중국 투자 심사 강화

      가. Nature Index 2020으로 본 바이오 분야 미-중 경쟁 현황

      나. 중국의 미국 바이오기술 의존도

      다. 미국의 CFIUS를 통한 중국으로부터 바이오 기술보호 강화

    (4) 한국 바이오기업 중국 기술거래 동향

    (5) 요약 및 시사점

3. 유럽(EU)

  1) 유럽 제약·바이오 산업동향 및 정책현황

    (1) 유럽 제약바이오 산업 현황

      가. 유럽 제약바이오 시장 동향

        ① 시장 규모

        ② 생산 및 매출 현황

        ③ 유럽 제약바이오 R&D

      나. 유럽 제약바이오 산업 주요 교역동향

      다. 한-유럽 제약바이오 교역동향

      라. 주요 인증 및 규제(유럽지역 공통적용에 한함)

    (2) 유럽 주요국의 제약바이오 산업 이슈 및 인허가 절차

      가. 스위스

        ① 국가 주요 동향 및 이슈

        ② 스위스 의약품 인허가 제도

      나. 독일

        ① 국가 주요 동향 및 이슈

        ② 독일 의약품 인허가 제도

      다. 영국

        ① 국가 주요 동향 및 이슈

        ② 영국 의약품 인허가 제도

      라. 오스트리아

        ① 국가 주요 동향 및 이슈

        ② 오스트리아 의약품 인허가 제도

      마. 스웨덴

        ① 국가 주요 동향 및 이슈

        ② 스웨덴 의약품 인허가 및 유통구조

      바. 체코

        ① 국가 주요 동향 및 이슈

        ② 체코 의약품 인허가 제도

4. 일본

  1) 바이오·의약품 원료 및 신약개발 동향

    (1) 스미모토 상사

      가.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 자회사 SPI운영

      나. 바이오 의약품 위탁제조, 신약개발 지원사업 등 수행 

    (2) 마쓰이 물산

      가. 의약품 개발 지원 솔루션

    (3) 이토추 상사

      가. 의약개발 아웃소싱 사업 강점

    (4) 미스비씨 상사

      가. 유전자 기술 스타트업에 투자

    (5) 동물용 의약품 투자현황

  2) 바이오 및 헬스케어 동향

    (1) 미쓰이 물산

      가. IHH 투자

      나. 예방 의료를 지향하는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 

    (2) 타기업의 병원사업 참전 현황

    (3) 미래형 의료서비스로 주목되는 원격진료 기업 동향

  3) 푸드테크 산업동향

    (1) 푸드테크란 식량 위기, 환경문제 등 사회문제에 대응하는 과제 해결형 비즈니스

    (2) 다양한 영역에서 푸드테크 관련 비즈니스 추진 중인 일본 종합상사 현황

    (3) 미쓰비시 상사

      가. 배양육과 식물육 등 대체육 사업 적극 추진

      나. 배양육 제휴 3사는 기술개발, 미쓰비시 상사는 일본에서의 제조·유통·판매 담당

      다. 대두 미트 위시한 식물성 식품의 개발·판매 추진

      라. 동물성 원재료 사용하지 않는 다양한 식품 개발 

    (4) 센서와 화상인식기술 활용해서 물고기 개체 관리 

    (5) 데이터 활용한 스마트 축산 및 농업경영사업에도 참여

    (6) 스미모토 상사

      가. 단백질 위기 대응의 대표 안건으로 배양어육 사업 추진

      나. 게놈 편집기술 보유한 영국 기업과 협업하여 사업 전개 

      다. 개인맞춤영양 분야, 인체에서 취득한 개인 생체정보 활용 

      라. Indigo와 협업하여 Carbon Credit 판매

    (6) AI 활용한 데이터 분석 - 업무효율화, 소비자 데이터 연동한 차별화 서비스 제공

5. 주요국 디지털치료제(DTx) 관련 정책 및 산업 동향

  1) 개요

  2) DTx 개념

    (1) DTx 개념과 구분

    (2) DTx 작용

    (3) DTx 시장규모 및 동향

  3) 주요국 DTx 정책 및 산업 동향

    (1) 미국

      가. 정책

      나. 산업 동향

    (2) 독일

      가. 정책

      나. 산업 동향

    (3) 영국

      가. 정책

      나. 산업 동향

    (4) 프랑스

      가. 정책

      나. 산업 동향

    (5) 중국

      가. 정책

      나. 산업 동향

  4) 결론 및 시사점


비밀번호 인증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