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PDF 주문안내]
-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PDF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계산서 발행안내]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견적서 및 거래명세서 발행안내]-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 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보고서 소개 ]
코로나19는 헬스케어 산업의 기점이 되었다. 의료 서비스와 디지털 기술의 만남으로 국경을 초월한 초연결 시대의 ‘커넥티드 헬스케어’가 가속화 하면서이다. 최근 전 국민의 보편적 건강 보장을 강조하는 ‘헬스케어 4.0’이 화두로 떠올랐는데, 핵심은 초연결·초지능화를 통한 환자 중심의 건강을 제고하는 건강관리 시스템이다. 이러한 흐름 속 최근 정부는 보건의료기술 수준을 선도국 대비 80% 이상으로 향상시키는 등 국민이 건강한 ‘헬스케어 4.0 시대’를 구현하겠다고 나섰다. 이를 위해 △심뇌‧응급 등 필수의료 투자, △암‧치매 등 미극복 질환 대응 기술 개발, △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의약품‧의료기기 글로벌 경쟁력 강화, △첨단재생의료 환자 접근성 개선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디지털 헬스케어’를 새로운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며 개발과 투자가 한창이다. 특히 미국, 유럽, 중국 등 디지털 헬스케어 강국은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의 잠재력에 주목하며 관련 사업을 육성해왔다. 특히 임상시험 분야의 디지털 치료제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업계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강력한 증거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업무 효율성도 크게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GIA가 발표한 「디지털 헬스: 글로벌 시장 동향 및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2019년 1525억 달러(한화 약 205조원) 규모에서 2027년 5088억 달러(약 686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헬스케어 시장의 패러다임에 맞춰 국내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데 도움이 되고자 「헬스케어 4.0 시대 지능형 시스템과 디지털 혁신기술 현황 및 R&D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는 총 8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국가별 디지털헬스 추진동향, 데이터 활용 디지털 헬스케어 동향,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개발현황, 비대면 의료의 전망과 디지털치료제 산업분석, 웰에이징/반려동물 헬스케어 산업, 한의약/AI 신약/첨단재생의료 경쟁력 강화방안, 헬스케어 소재개발과 원료의약품 국산화 추진 동향을 다루었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 목차 ]
제1장 디지털헬스 트렌드 및 국가별 헬스케어 추진동향
1. 미래 디지털헬스 트렌드 분석과 시사점
1) CES 2023 디지털 헬스케어 이슈 분석
(1) 헬스 데이터의 이동
(2) AI 분석 확대
(3) 디지털 헬스케어(즐거운 노후 생활을 위한 필수 도구)
(4)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내 혁신과 융합을 위한 파트너십 증가
(5) 디지털 건강 데이터의 분산화 이슈 대두
(6) CES 2023 Digital Health 혁신상
가. 최고 혁신상
나. 디지털 헬스 혁신상(질병 진단)
다. 디지털 헬스 혁식상(질병 치료)
라. 디지털 헬스 혁신상(슬립 케어)
마. 미국 Digital Health 혁신상
2) CES 2024 디지털 헬스케어 이슈 분석
(1) 헬스·웰니스테크 관련 CES 2024 최고혁신상 수상작
(2) 개인별 맞춤화 및 의료형평성 개선
2. 국가별 헬스케어 산업현황과 투자정책
1) 국외
(1) 미국
가. 디지털 헬스 시장규모
나. 헬스케어 3가지 주요 트렌드
다. 헬스케어분야 인공지능(AI) 활용 사례
A) AI를 활용한 영상 진단과 질병의 조기 발견
B)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
C) AI를 활용한 건강 관리
(2) 영국
가. NHS 시장
나.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및 현황
다. 디지털 헬스케어 전환 구축
(3) 독일
가. 독일의 의료분야 투자와 입지
나. 다양한 의료보험 시스템과 기회, 경쟁 그리고 규제
다. 독일 정부의 헬스케어산업 지원
라. 독일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 확대
(4) 핀란드
가.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핀란드
나. 헬스케어 산업에 투자하는 핀란드
다. 주목할 만한 핀란드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들
A) Aiforia Technologies
B) Kaiku Health
C) Oura
D) Nightingale Health
(5) 호주
가. 꾸준히 성장 중인 전 세계 웨어러블 시장
나. 호주의 웨어러블 시장 현황 및 전망
다. 호주 내 주목할만한 웨어러블 기술 및 기업 소개
A) 스마트 패치가 알려주는 우리 몸의 건강 경보 : 웨어옵티모
B) 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운동선수 분석과 관리 : Catapult
C) 웨어러블 기술로 환자의 발작 가능성 예측 : Seer Medical
(6) 일본
가. 스마트워치로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공략
나. 시장 동향
다. 경쟁 동향
라. 시사점
(7) 싱가포르
가. 싱가포르 헬스케어 시장 환경
나. 싱가포르 헬스케어 정부 지원
다. 싱가포르 멘탈 헬스케어 트렌드
A) 멘탈 헬스 케어 디지털 플랫폼 구축
B) 심리 치료 관련 어플 트렌드
(8) 베트남
(9) 카타르
가. 정책 동향
나. 시장 동향
A) 의료 통합 관리 시스템(Electronic Health Record)
B) 스마트 워치 건강 플랫폼(SHIA)
C) 의약품 배달 시스템
D) 스마트 엠뷸런스
E) 원격진료
다. 시장 규모
(10) 이스라엘
가. 헬스테크 산업 동향
나. 이스라엘 국민 건강관리 시스템의 영향
다. 디지털 헬스 산업에 대한 국가 육성 정책
라. 헬스테크 산업 투자 동향
2) 국내
(1) 바이오 헬스 지원책
(2)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3. 국내 ‘헬스케어 4.0시대’ 구현을 위한 추진과제
1)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 보건의료기술 투자
(1) 필수의료 정책지원 기술 개발
(2) 주요 질환의 조기진단‧치료를 위한 혁신기술 확보
(3) 비용 효과적인 환자 중심 보건의료기술 개발
(4) 국민 생활 건강 증진 연구 강화
2) 미래 위협을 대비하는 든든한 보건안보 확립
(1) 국민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백신‧치료제 개발
(2) 선제적 감염병‧재난 대응체계 구축
3) 바이오헬스 강국 도약을 위한 신산업 육성
(1) 데이터‧AI를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2) 글로벌 신약개발 경쟁력 강화
(3) 원천기술 기반 첨단재생의료 실용화 촉진
(4) 첨단 융‧복합 의료기기 경쟁력 강화
(5) 한의‧피부‧치의 건강증진 연구개발
4) 혁신을 촉진하는 R&D 생태계 조성
(1)보건의료 R&D 혁신생태계 활성화
(2) 민간이 주도할 수 있는 혁신 환경 조성
(3) 혁신 생태계 핵심전문인력 양성
제2장 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동향
1.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현황과 플랫폼 구축
1) 보건의료데이터
(1) 보건의료데이터 개념
(2) 보건의료데이터 유형 및 권리
가. 보건의료데이터 유형별 개념 및 권리
A) 진료데이터 개념 및 권리
B) 공공기관 데이터 개념 및 권리
C) 임상연구 데이터 개념 및 권리
D) 오믹스(OMICS) 데이터 개념 및 권리
E) 기기 기반 데이터 개념 및 권리
F) 라이프로그(Lifelog) 데이터 개념 및 권리
G) 앱・소셜미디어 데이터 개념 및 권리
나. 공공데이터와 민간데이터
(3) 보건의료데이터 정책 경과
가. 보건의료데이터 정책 추진 주요 경과
나. 국내 주요 보건의료정보 사업
다. 공공데이터와 민간데이터 결합 추진
(4)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현황
가. 의료기관 연구 목적 활용
나. 거래를 통한 활용
A) 공공기관
B) 민간기관
다. 병원 중심 데이터 활용 사업 추진(의료기관 간 격차의 문제)
2) 국내, 의료데이터 활용 활성화 추진현황
(1) 2023 건강정보 고속도로 추진계획
가. 플랫폼 정식 가동
나. 제공 데이터
다. 나의건강기록앱 기반 활용
라. 표준가이드라인 배포
마. 홈페이지 운영
(2) 보건의료데이터 표준화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
가. 현황 및 문제점
나. 추진 방향
다. 향후 계획
3) 국내외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 활성화와 사례분석
(1) 국내외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 사례 분석 및 시사점
가.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 사례분석
A) 한국,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B) 한국, 분산형 바이오헬스 빅데이터 플랫폼
C) 미국, 올오브어스 연구프로그램(All of Us Research Program)
D) 영국, UK 바이오뱅크(Biobank)
E) 핀란드, 핀젠 연구 프로젝트(FinnGen Research Project)
나.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A) (데이터 구축) 수요를 반영한 데이터 수집 및 선순환을 통한 확장
B) (데이터 제공) 플랫폼 참여 유인 강화 및 동의제도 고도화
C) (데이터 이용) 가시성 높은 시스템 설계 및 접근 권한 차등화
D) (플랫폼 운영) 관리·감독과 개발·운영 주체 분리 및 예산 확보방안 마련
E) (사업 환경) 성공사례 창출과 법제도 정비를 통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2)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 동향 및 발전방향
가.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 배경
A)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 개요
B)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
나. 국내외 정책 및 투자 전략 동향
A) 국내 정책 추진 현황
B) 국내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 동향
C) 해외 정책 추진 현황
D) 해외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 동향
다.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 발전 방향
A) 바이오 데이터생태계 가치사슬
B) 데이터 생산 부문 인프라 발전 방향
C) 데이터 저장·유통 부문 인프라 발전 방향
D) 대규모처리량 기술 등장과 데이터 제공 유통의 활성화
E) 연구 및 산업 주체별 활용을 위한 인프라 발전방향
F) 빅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 공급
G) 디지털 바이오 패러다임 대응
H)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협업 인프라의 제공
4) 국제 보건의료데이터 표준과 규정현황
(1) 의료데이터 표준 현황
가. WHO-FIC
A) ICD(국제 질병·사인(死因) 분류)
B) ICF(국제 기능·장애·건강 분류)
나. ICHI(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lth Interventions, 국제 건강행위 분류)
다. SNOMED CT(Systematized Nomenclature Of Medicine Clinical Terms)
라.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
(2) 개인정보보호 규정 현황
가. EU GDPR(개인정보보호 규정)
5) 국내외 의료 마이데이터의 도입 및 실증사례
(1) 의료 마이데이터의 정의
(2) 의료 마이데이터 관련 선행연구
(3) 국내외 의료 마이데이터 실증사례
(4) 핀란드와 호주의 보건의료 마이데이터 도입 및 활용사례
가. 핀란드의 디지털 헬스 혁신과 의료 마이데이터 활성화
A) 핀란드의 칸타 서비스
B) 핀란드의 칸타 서비스 이용자 경험
나. 호주의 나의 건강기록(MHR) 공유 플랫폼
A) 호주의 나의 건강기록(MHR) 서비스 이용자 경험
(5) 국내 의료 마이데이터 추진현황
가. 정부 주도형 의료 마이데이터 추진
나. 공공기관 주도형 의료 마이데이터 추진
A) 국민건강보험공단 : The 건강보험 앱
B)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건강e음 앱
C) 질병관리청 :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
다. 공공-민간 주도형 의료 마이데이터 추진
A) 과학기술정보통신부
B) 산업통상자원부
2.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유전체 빅데이터 활용
1)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1) 병원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사업
가. 사업 개요
나. 사업 내용
다. 사업 추진 체계
(2) 국내외 바이오의료 분야 마이크로바이옴 지원 현황
(3)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산업동향
가. 국내외 정책 현황
나. 시장 동향
A) 시장 규모 및 전망
B) 경쟁 현황
(4) 엔지니어링 마이크로바이옴 개발 동향
가. 엔지니어링 마이크로바이옴
나. 규제 고려사항
다. 시사점
2) 유전체 빅데이터 활용과 미래
(1) 유전체 빅데이터의 산업적 활용
(2) 유전체 데이터의 가명처리 활용 방안
가. 유전체 데이터의 안전한 보호·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나. 개정된 보건의료 데이터활용 가이드라인 유전체/전사체/단백체/대사체 데이터의 활용방안
다. 유전체 데이터의 적극적인 활용
(3) 유전체 빅데이터 기반의 맞춤의료
가. 맞춤 의료와 유전체 정보
나. 대규모 유전체 분석 사업
A) 유전체 분석 기법과 유전 변이 확인
B) 질환의 원인이 되는 유전 변이를 찾기
C) 대규모 유전체 분석 사업 소개
다. 맞춤의료를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염기서열 분석법
A) 긴 조각 염기서열 분석법과 유전체 지도 작성
B) 긴 조각 염기서열 분석법과 비정상 유전자 블록 조합 분석
라. 결론
제3장 AI활용 디지털 헬스케어/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현황
1. 디지털 헬스케어/의료분야 AI기술 활용과 개발동향
1) 디지털 헬스케어와 AI기술 활용사례
(1)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활용한 혁신
(2) AI 기술 활용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개발
가. 이모코그(Emocog)
나. 아이메디신(iMediSync)
다. 스카이랩스(SkyLabs)
라. 솔티드(SALTED)
마. 웰트(WELT)
바. 휴이노
사. 휴먼스케이프
아. 레몬헬스케어
자. 클라리파이
차. 메디픽셀
(3) AI기반 메타버스를 활용한 지체장애인의 e스포츠와 재활운동
가. 재활운동의 개선방안
나. e-스포츠와 재활운동의 융합방안
A) e-스포츠의 기본실태
B) 가상(VR)
C) 증강(AR)
D) 혼합(MR)
E) 확장(XR)
다. 결론 및 제언
(4) 일상관리에서의 인공지능(AI)과 기계학습(ML) 활용사례
가. 개인 맞춤 운동을 위한 기계학습(ML) 활용
나. 식품 및 식단 추천을 위한 기계학습(ML) 활용
2) 의료 인공지능(AI) 동향과 데이터 활용현황
(1) 의료 인공지능 동향과 발전 방향
가. 인공지능 의료기기 개요
나. 영상진단 분야 인공지능 의료기기의 개발 및 사례
다. 의료 인공지능 기술의 미래와 과제
A) 인공지능 기술개발을 위한 합성 의료데이터 마련
B) 보안성 향상을 위한 온-디바이스 AI 기술 적용
(2) AI 의료 및 헬스케어의 관련 정책 및 제도
(3) 인공지능(AI) 기반 의료기기 성능평가 국제표준
(4) AI 의료 및 헬스케어의 시장동향
가. 시장 규모
나. 경쟁 현황
2. 웨어러블 기반 헬스케어 기기의 연구개발 동향
1)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1) 개요
(2) 정책 및 규제 현황
가. 해외
나. 국내
(3) 시장 동향
가. 시장 규모 및 전망
나. 경쟁 현황
A) 해외
B) 국내
(4)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연구개발 동향
가. 헬스케어 웨어러블 분류
나.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주요 기술 요소
다.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반 생체신호 계측기술 동향
라.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반 생체신호 분석기술 동향
마.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반 치료기술 동향
바.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망 및 시사점
2) 모바일 헬스케어 데이터 관리시스템 개발현황
(1) 모바일헬스케어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중요성
(2) 국내 모바일헬스케어 데이터 관리시스템 현황
가. 병원 중심의 PHR 어플리케이션
A) 서울대학교병원
B) 서울아산병원
C) 세브란스병원
나. 모바일헬스케어 업체
A) 삼성헬스
B) 라이프레코드
(3) 해외 모바일헬스케어 데이터 관리시스템 현황
가. 애플(Apple Health kit)
나. 구글(Google Fit)
다. 발리딕(Validic)
(4) 모바일헬스케어 데이터 관리시스템 발전 방향
가. 모바일헬스케어 데이터 관리의 문제점
나. 모바일헬스케어 데이터 관리시스템 표준화
A) 표준화 개요
B) 표준화 프레임워크
C) 모바일헬스케어 데이터의 진료지침 활용을 위한 활용 가이드라인 마련
3) 모바일 헬스케어 기반 건강관리서비스 개발현황
(1) 건강관리서비스 분류
(2) 주요 건강관리서비스 현황
가. 애플
나. 삼성전자
다. 구글
라. 나이키, 스트라바
마. 캄(Calm)
(3) 건강관리서비스의 주요 이슈
(4) 모바일헬스케어 건강관리서비스 발전방향
가. 의료서비스와의 융합 및 영역 확대
나. 가지기반 헬스케어모델
3. 헬스케어 서비스 관련 기술별 산업동향
1) 헬스케어 서비스
(1)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분류 체계
2) 전략품목 관련시장 규모 및 전망
(1) 세계 시장
가. 데이터 분석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나.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
다.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 활용 운동 지원 서비스
라. 원격 모니터링 활용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
마. AI 맞춤형 환자·고령자 돌봄 플랫폼
바.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2) 국내 시장
가. 데이터 분석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나.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
다.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 활용 운동 지원 서비스
라. 원격 모니터링 활용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
마. AI 맞춤형 환자·고령자 돌봄 플랫폼
바.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3) 기술개발 대표사례 분석
(1) 해외 기업
가. NOOM(1:1 전담 코칭 식단관리앱)
나. Fitbit(헬스케어 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워치)
다. Pill Pack(디지털화에 맞추어 온라인으로 약을 처방받고 배송받는 온라인 약국 서비스)
라. TDOC.K(원격 진료 플랫폼)
마. 23 ANDME(타액 분석을 바탕으로 개인별 유전정보 제공)
바. 메디컬체인(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의료기록관리 서비스)
사. 핑안굿닥터(비대면 원격 진료 플랫폼)
(2) 국내 기업
가. 비브로스(모바일로 병원 예약 및 접수, 처방 서비스)
나. 스카이랩스(AI 기반 심장모니터링 플랫폼 ‘카트원’)
다. 닥터나우(비대면 진료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
라. 굿닥(AI 기반 비대면 진료 및 건강관리 플랫폼)
4) 국내 연구개발 기관
(1) 대표 연구개발 기관
(2) 선행연구 사례
제4장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비대면 의료/디지털치료제-
1.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디지털헬스 도입현황과 비대면 의료의 전망
1) 코로나 19 팬데믹 동안 디지털 헬스 활용
(1) 코로나 19 대응에서 디지털 기술 활용
가. 감시
나. 스크리닝과 자가격리
다. 접촉자 추적 조사 및 자가격리 등 관리
라. 진단, 환자 분류, 치료 모니터링
마. 교육 및 정보공유
(2) 코로나 19 팬데믹 동안 원격의료 활용
가. 미국
나. 한국
다. 기타
(3) 코로나 19 펜데믹 동안 디지털 헬스 활용의 한계 및 개선방안
가. 디지털 헬스 기술의 기술적 한계
나. 디지털 격차 및 디지털 헬스 격차로 인한 불평등 심화
다. 개인정보 유출 및 사생활 침해
라.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인포데믹
마. 원격의료의 급속한 확대로 인한 불평등 및 개인정보 보호 문제
2) 비대면 진료 국내 현황 및 국외 사례
(1) 비대면 진료의 한시적 허용
(2) 비대면 진료 현황 및 주요 이슈
(3) 주요 이슈 관련 국외 사례
가. 비대면 진료 참여 범위
A) 일본 사례
B) 프랑스 사례
C) 호주 사례
나. 약 처방과 배송
A) 일본 사례
B) 프랑스 사례
다. 비대면 진료 수가
A) 일본 사례
B) 프랑스 사례
C) 호주 사례
라. 시사점
3) 원격의료 활용과 미래
(1) 해외 원격의료 활용 현황과 전환점
가. 새로운 모멘텀
나. 글로벌 원격의료 기업의 성장
다. 원격의료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규제 변화를 가져온 COVID-19
라. COVID-19 팬데믹 이후 원격의료의 급속한 확장
마. 원격의료에 대한 인식변화
바. 결론
(2) 원격의료와 원격모니터링의 미래
가. 원격모니터링의 네트워크
나. 원격모니터링의 중요성 및 요소 기술
A) 아키텍처 구성의 고려요소들
B) 원격모니터링 기술 발전의 역할
C) 원격모니터링, 개인 기반 혹은 그룹 기반
다. 원격의료, 원격모니터링의 미래
A) 원격의료, 원격모니터링 통합의 이점
B) 원격의료, 원격모니터링의 미래
4) 의료기관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실증(홈스피탈)
(1) 비대면 의료서비스 활성화 기술 실증 분야
(2) 혁신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실증 분야
(3) 홈스피탈 구현 기술 실증 분야
2. 디지털 치료제 개발 현황 및 향후 전망
1) 디지털 치료제 개요 및 시장 전망
(1) 디지털 테라퓨틱스 시스템
(2) 시장동향 및 전망
2) 주요 국가별 디지털치료기기 규제 동향 분석
(1) 미국
(2) 독일
(3) 영국
(4) EU
(5) 일본
(6) 한국
3) 디지털 치료제 제공 분야별 상품 및 서비스
(1) 주의력 결핍 및 행동장애(ADD, ADHD)
(2) 알콜 및 악물장애(Alcohol & Substance Use Disorder)
(3) 불안 및 우울증(Anxiety & Depression)
(4) 편두통(Migraines)
(5) 퇴행성 신경장애(Neurodegenerative)
(6) 뇌졸중 후유증 재활(Post-stroke Rehabilitation)
(7) 스트레스성 정신질환(Stress management & Mindfulness)
(8)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이하 PTSD)
(9)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urm Disorder; 이하 ASD)
(10) 금연(Smoking Cessation)
(11) 만성통증(Chronic Pain)
(12) 당뇨(Diabetes)
(13) 소화기능 장애(Gastroenterology)
(14) 근골격 장애(Musculoskeletal)
(15) 종양(Oncology)
(16) 눈질환(Ophthalmology)
(17) 수면장애(Sleep disturbance)
가. Somryst(SHUTi)
나. Sleepio
다. CBT-I Coach
라. Night Owl-Sleep Coach
마. Minddistrict
바. Embr Labs
사. 솜즈(Somzz)
아. 필로우 Rx(PilLow Rx)
제5장 디지털 치료제 투자현황과 헬스케어 기기 특허분석
1. 디지털 치료제 산업현황과 기업동향
1) 해외 디지털 치료제 산업동향
(1) EU
가. 독일
나. 프랑스
(2) 영국
(3) 미국
(4) 아시아
가. 일본
나. 인도
2) 국내 디지털 치료제 산업동향
3) 제약사와 디지털치료제 개발사간 협업 현황
(1) 디지털 치료기기 개발 과정
가. 기존 신약 대비 개발기간, 개발비용 절감 효과
(2) 제약사와 DTx 개발사간 협업 현황
(3) 제약사와 DTx 개발사 성공적인 협업 모델
4) 보험회사 파트너십 및 전략적 투자
(1) AXA
(2) CVS Health(Aetna)
(3) UnitedHealth Group & Optum
(4) Cigna(Evernorth)
(5) Humana
(6) Elevance Heatlh(Anthum)
(7) AVIVA
(8) Kaiser Permanente
2. 디지털 치료제의 안전성 이슈와 도입 가능성
1) 디지털 치료제의 유효성과 안전성
(1) 의료 시스템 접근성 향상
(2) 대상자의 치료 이행과 지속성의 향상
(3) 치료의 연속성 증가
(4) 치료의 조건을 제공자가 컨트롤 가능
(5) 저비용 고효율의 경제성
(6) 디지털 치료제 사업성 - 경쟁력 확보 및 시장 확대의 기회
2) 디지털 치료제 활용 현황 및 도입 가능성
(1) 개인정보 보호 및 보건의료 데이터
(2) 디지털 치료제 활성화를 위한 원격의료 도입 가능성 검토
(3) 정부 및 단체들의 디지털 치료제 산업 육성을 위한 노력
3. 디지털 치료기기 및 헬스케어 기기 특허동향 분석
1) 디지털 치료기기를 활용한 중증질환 경험자 일상 회복 지원 헬스케어
(1) 중증질환 경험자 대상 디지털 치료기기 도입의 필요성
가. 중증질환의 정의 및 현황
나. 중증질환 관련 디지털 헬스케어의 필요성 증가
다. 중증질환 경험자의 생활 회복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2) 중증질환 경험자 헬스케어 관련 연구동향
가. 기술 개발 동향
A) 국외 동향
B) 국내 동향
나. 특허 동향
A) 주요국 연도별 특허 동향
B) 상위 출원인
C) 주요 중증질환별 특허 분석
다. 논문 동향
A) 암 관련 일상 회복 논문 동향
B) 심뇌혈관 질환 분야의 논문 동향
C) 중증 외상 관련 분야의 논문 동향
라. 국내 특허 및 논문 포트폴리오
A) 암
B) 심뇌혈관 질환
C) 중증 외상
(3) 시사점
가. 중증질환 관리의 현황 및 대안
나. 시사점 및 제언
2) 헬스케어 기기 상표권 주요이슈와 상표 통계
(1) 최신 이슈 동향 및 분석 범위 설정
가. 국내외 기술 동향
A) 가정용 의료기기 부상
B) 웨어러블 기기의 건강관리 기능 확장
C) 디지털 헬스케어 – 소프트웨어
나. 국내외 시장 동향
A) 헬스케어 패러다임 변화
B) ICT 기업의 시장 진출
C)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해외 주요 기업
D)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국내 주요 기업
E) 키워드 선정
(2) 분석대상 기업 선정
(3) 비즈니스 분야별 주요 기업 분석
가. 미용 뷰티기기
나. 헬스케어기기
A) 안마기
B) 혈당측정기
C) 체성분 분석기
(4) 헬스케어기기 상표권 최근 이슈
(5) 분석 대상 데이터 및 방법론
가. 지정상품 리스트
나. 분석 대상 데이터
다. 분석 건수
(6) 출원・등록 현황 분석
가. 국가별 출원 동향
나. 국가별 등록 동향
(7) 지정상품 추이 분석
가. 지정상품별 출원 및 등록 동향
나. 지정상품 출원 동향
다. 지정상품 등록 동향
(8) 국가별 주요 출원인 동향
가. 한국
나. 일본
다. 미국
라. 유럽
마. 중국
제6장 웰에이징 디지털 헬스 및 반려동물 헬스케어 산업분석
1. 웰에이징(Well-aging) 디지털 헬스와 시니어케어 산업
1) 한국형 웰에이징 복지정책과 기술방향
(1) 현재 정부의 노인복지 지원정책
(2) 웰에이징(Well-aging) 측면에서 바라본 노인복지의 문제점과 정책 방향
가. 노인이 행복한 네덜란드 사례
나. 웰에이징(Well-aging)을 위한 제품 및 서비스의 목표와 공익성
다.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
2) 가속화되는 초고령화 사회와 솔루션
(1) 고령화에 따른 퇴행성 질환 급증
(2) 초고령화 사회와 디지털헬스케어
(3) 고령친화산업 육성 주요 정책 과제
3) 2023년 시니어 비즈니스의 현 주소와 전망
(1) 시니어 산업의 태동기
(2) 노인 돌봄 서비스의 성장세
(3) 산업이 성장하며 겪는 성장통
(4) 시니어 비즈니스의 방향
가. 이제는 나를 위한 소비의 시대
나. 노후가 기대되는 사회
4) 노인 대상 디지털기기 개발 현황
(1) 일반적 ICT 기기 및 어플 분야의 개발 현황
(2) 보조기술(Assistive Technologies) 기기의 개발현황
가. 활동보조로봇
나. 외골격(Exoskeleton) 지원 로봇
(3) 스마트 홈(Smart Home) 개발현황
가. 스마트 홈 시스템의 발달
나. 스마트 방범(Security),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전등 등
(4) 기술기반 헬스케어(Technology-Based HealthCare) 개발 현황
가. 원격진료(Telemedicine)
나. 원격건강서비스(Telehealth)
다. 원격모니터링(Telemonitoring)
(5) 기술기반 홈케어(Technology-Based HomeCare) 개발현황
(6) 기술 기반 웰니스 서비스(Technology-Based Wellness Service) 개발 현황
가.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나. 사회적 소통을 돕는 반려로봇, 쇼셜로봇(Social Robots)
5) 노인성 질환 예측 및 관리를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현황
(1) 실버 디지털 헬스케어를 위한 데이터의 측정 및 확보
(2) 실버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현황
가. 노쇠 및 근감소증
나. 인지기능장애
다. 우울증
라. 기타 노인성 질환
6) 시니어케어 시장동향 분석
(1) 시니어케어 시장 현황
가. 시니어케어 개념과 시장 구조
(2) 국내 시니어케어 시장의 현황
(3) 시니어케어 시장 전망
가. 수요 측면의 변화
나. 공급 측면의 변화
(4) 금융사의 대응 방향
2. 성장하는 펫테크 및 반려동물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1) 혁신기업 사례로 보는 펫케어 산업 트렌드
(1) 펫휴머니제이션
가. 휴먼그레이드 푸드
나. 제품의 친환경화
다. 돌봄 서비스 고도화
(2) 펫테크
가. 스마트케어
(3) 동물의료(veterinary)
가. 조기진단
나. 원격진료 및 상담
2) 국내외 반려동물 헬스케어 현황 및 사례
(1) 국내
가. 원격 건강관리 및 반려동물 보험
나. 웨어러블 기기
다. 원격 모니터링
라. 유전자 검사
마. 맞춤형 식단제공 서비스
(2) 해외
가. 원격의료
나. 유전자 검사
다. 맞춤형 식단제공 서비스
3) 반려동물 연관 산업 현황
(1) 국내외 산업 현황과 전망
가. 글로벌 현황과 전망
나. 국내 현황과 전망
A) 반려동물 연관산업
B) 펫푸드 산업
4) 동물용 의료기기 시장현황
(1) 관련 정책 및 제도
(2) 시장 동향
가. 시장 규모
나. 경쟁 현황
5) 우리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방안
(1) 제품에 글로벌 트렌드를 입히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라
가. 펫휴머니제이션
나. 디지털 첨단기술의 접목
(2) 소비자 페인포인트(Pain Point)를 분석하고 솔루션을 제공하라
(3) 제품과 서비스를 융합하라
(4) 국가별 맞춤형 전략 수립을 통해 해외시장에 진출하라
(5) 시사점
제7장 한의약 헬스케어/AI신약/첨단재생의료 경쟁력강화
1. 한의약 바이오 디지털 융합 헬스케어 기술개발
1) 국내, 한의 디지털융합기술 개발사업 추진동향
2) 한의약 연구분야 빅데이터/인공지능 활용에 관한 고찰
(1) 인공지능(AI)시대, 침구의학의 현황과 방향
가. 침구의학 분야에 적용된 인공지능 연구현황
A) 임상데이터에서 경혈주치 패턴 확인
B) 임상데이터에서 증상을 기반으로 경혈선혈 패턴 예측
C) 변증과 경혈선혈과의 관계 분석
나. 인공지능 시대 침구의학의 연구방향
A) 표준화된 치료에서 개별화된 치료로의 전환
B) 맞춤형 침 치료를 위한 변증유형 분석
C) 하향식 연구방식(Top-down approach)과 상향식 연구방식(Bottom-up approach)의 결합
(2) 빅데이터 기반 한의 예방치료 원천기술 개발
가. 서론
A) 정밀의료
나. 본론
A) 한의 정밀의료 코호트와 빅데이터
B) 한의 유전체 분석기술 개발
C)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심화 생활습관 자료 획득과 분석
D) 참여형 웹기반 코호트
다. 제언
(3) 한의약 실사용 데이터 사업 현황과 발전 방향
가. 서론
나. 본론
A) 한의약 활용 가능 실사용데이터 데이터베이스
B) 현재까지의 이차정보자료원 RWD의 한계 극복 및 활용성 증대 대안
C) 한의약 실사용데이터(RWD) 구축을 위한 노력
다. 결론
3) 한의약분야 최신 국제표준화 동향
(1) 제13차 ISO/TC249 총회 현황
가. 제13차 ISO/TC249 총회 참석 현황
나. ISO/TC249 리더십 및 정회원국 현황
다. ISO/TC249 국제표준 개발현황
라. ISO/TC249 전략산업보고서(Strategic Business Plan) 업데이트
마. ISO/TC249와 협력기관(Liaisons) 신규 추진
(2) 신규 국제표준안건 논의 결과
4) 고령화 시대를 대비한 ICT 접목 스마트 헬스케어 한의약 융합시스템 개발
(1) 연구 배경
(2) 초고령 사회를 위한 한의학계의 준비
가. 지역주도형 보건의료 지원 체계 구축
나. 한의학 건강 증진 사업 활성화
다. 한의학 일차의료 모델 구축과 협업 활동
라. 한의약 접근성과 신뢰성 보장을 위한 제고 활동
(3) 실증적 한의학 보건의료 체계 정착 활동
(4) 한의학 적용의 다변화를 위한 한의학 연구 개발
(5) 스마트 헬스케어의 산업의 구조
(6) 4차 산업혁명 기술이 결합한 한의약산업과 보건산업 변화
(7)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 기술 프로젝트 추진 배경 및 개요
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스마트 웰에이징 기술 개발 사업 추진 배경
나.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스마트 웰에이징 기술 개발 사업 추진 내용
(8) 경혈 자극 원천기술 기반 ICT 접목 침치료 융합시스템 개발
가. 바이오‧의료기술 개발 사업 추진 배경, 혈위자극 ICT 융합시스템 개발 주안점 및 목표
나. 혈위자극 ICT 융합시스템 개발 개요
다. 경혈 자극·진단의 의의 및 기술 개발 필요성
라. 미세혈류 측정 기반 경혈 진단 기술
마. 침습 레이저침(Invasive laser acupuncture, ILA) 경혈자극 기술
바.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침 원리 및 경혈 자극 기술
사. 경혈 자극·진단 침치료 융합시스템 개발 및 장점
아. 한의 경혈 진단 치료 ICT 융합연구팀 구성, 유기성 및 기대효과
2. AI 뉴노멀 시대의 도래와 글로벌 신약개발 동향
1) AI 활용 신약 개발에 대한 이해
(1)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
(2) 신약 개발 적용 AI 모델
(3) AI 활용 신약 개발 R&D의 필요성
2) AI 활용 신약개발 정책 동향
(1) 미국
(2) 영국
(3) 캐나다
(4) 중국
(5) 일본
(6) 한국
3) AI 활용 신약 개발 산업 동향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파트너십과 투자동향
(3) AI 활용 신약 개발 제품·서비스 동향
가. 각국의 민간분야 AI 신약개발 동향
A) 해외
B) 국내
나. 민관협력 AI 신약개발
A) EU-MELLODDY
B) K-MELLODDY 프로젝트
4) AI 활용 신약 개발 특허 동향
(1) 분석 개요
(2) 국내외 특허출원 동향
(3) 기술별 특허출원 동향
가. 세부기술별 주요시장국 동향
나. 후보물질 발굴 관련 기술
다. 비임상 개발 관련 기술
라. 임상시험 관련 기술
3. 첨단재생의료 최신동향과 실용화 촉진
1) 첨단재생의료 시장동향
(1) 시장 개요
(2) 시장 동향 및 전망
2) 국내외 정책 동향
(1) 해외
(2) 국내
가.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의 내용
나. 사업 지원과제의 현황 및 분석
3) 국내외 기업 현황
(1) 해외
(2) 국내
4)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심의현황
5) 글로벌 재생의료 기술성숙도 활용 현황
(1) 유럽연합(EU)
(2) 영국
(3) 인도
(4) 일본
(5) 미국
제8장 헬스케어/의료 소재개발과 원료의약품 국산화 추진동향
1. 웨어러블 헬스 모니터링기기의 소프트 드라이 일렉트로드 연구동향
1) 연구 배경
2) 연구 내용
(1) 소프트 건식 전극을 위한 재료와 공정
(2) 향상된 통기성을 위한 전략
(3) 향상된 피부 접착성 소프트 전극 제작
3) 연구 결과
2. 3D 바이오프린팅 및 나노기술 활용 바이오잉크 소재 기술
1) 기술 동향
(1) 바이오프린팅과 바이오잉크
(2) 카트리지를 이용한 바이오프린팅을 통해 조직 미세구조 구현
(3) 동축 노즐을 이용한 바이오프린팅으로 도관 구조를 갖는 인공 조직 제작
(4) 바이오 프린팅을 통한 세포 배향성 제어
(5) 바이오 프린팅을 통한 관류가능 혈관 재생 기술
(6) FRESH 바이오프린팅 기술개발
(7) 장기 조직의 경사도(Gradient)를 모사하는 바이오프린팅 기술 개발
(8) 나노소재를 통한 바이오잉크 기능성 향상 연구가 다수 보고
(9) 바이오프린팅을 통해 제작된 생체 체외 모델
2) 기업 현황
(1) 해외
(2) 국내
3. 의료용 저온 플라즈마 주요동향
1) 의료용 저온 플라즈마 개요
2) 의료용 저온 플라즈마 시장 동향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경쟁 현황
4. 헬스케어산업 검사장비 주요동향
1) 헬스케어산업 검사장비
2) 헬스케어산업 검사장비 정책 및 규제 현황
3) 헬스케어산업 검사장비 시장동향
4) 헬스케어산업 검사장비 기업현황
5) 헬스케어산업 검사장비 분야 전략
5. 국내외 원료의약품 산업 동향과 국산화 대책방안
1) 원료의약품 개요
2)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
(1) 최근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
(2) 한국의 원료의약품산업 및 공급망 현황
3) 원료의약품 자국화 정책과 해외 사례
(1) 일본
(2) 미국
(3) 중국
(4) 인도
(5) EU
4) 고부가가치 원료의약품의 개발과 제조 혁신
6. 국내외 바이오의약품 소부장 자국화 추진동향
1) 바이오 소부장
(1)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내 소부장 중요성 대두
(2) 생산공정별 소부장
2) 국내외 바이오의약품 소부장 자국화 정책
(1) 미국
(2) 유럽연합(EU)
(3) 영국
(4) 국내
도표/그림 목차